메인 컨텐츠 영역으로 이동
:::
전 대만에서 첫번째 수제 보도가 단란에!
手作步道

전 대만에서 첫번째 수제 보도가 단란에!

멕케이 박사가 단수이(淡水)에서 이란(宜蘭)으로 다니며 의술과 전도를 행했을 때 그가 다니던 노선이 오늘날의 「벙산컹(崩山坑) 고도」이다. 「벙산컹 고도」는 전 대만에서 첫번째 수제(手製) 보도로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은 구간이라 보존이 양호하다. 「수제 보도」는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현지에서 재료를 채취해 만든 보도로 기계로 만든 시멘트 길과 달리 등산객들은 인정미가 풍부한 트레일을 걸을 수 있다.

대만의 국보인 쌍부채 고사리
雙扇蕨

대만의 국보인 쌍부채 고사리

「쌍부채 고사리」는 쥬라기 시대의 형태 특징으로 자고이래 지금까지 존재하는 진정한 「살아있는 화석」이다. 쌍부채 고사리는 얇고 얕은 암석벽에 무리를 이루고 살아가는데 태양을 향해 펼치는 특성이 있어 「대자연의 나침판」이라 칭해진다. 쌍부채 고사리는 또한 단란고도의 대표적 도안으로 선정되어 등산객들은 연도의 지표에서 이 쌍부채 고사리 토템을 보고 정확한 길을 찾을 수 있다.

고도에 숨어있는 250곳의 토지공묘
土地公廟

고도에 숨어있는 250곳의 토지공묘

한인(漢人)의 전통민속신앙에서 대부분 마조(媽祖)와 토지공(土地公)이 주로 신봉받는 신명이며 토지공은 서민생활과 비교적 가까워 한인들이 모여사는 곳에는 반드시 토지공묘가 있다. 2017년 처음으로 단란고도의 작은 토지공묘 조사를 진행했는데 수량이 250곳에 달해 전체 대만의 토지공묘 수량의 4분의 1 수준이었다.

단란 3대 반딧불 감상지
螢火蟲

단란 3대 반딧불 감상지

북로(北路)의 류랑로(琉榔路) 보도는 낮에는 져우펀(九份) 폭포의 아름다은 산해풍경을 보여주고 밤에는 반딧불의 불빛을 포착하게 하는 곳이다. 중로(中路)의 핑후(平湖)삼림오락원은 핑시(平溪)와 솽시(雙溪)가 만나는 곳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산길이 원래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어 반딧불이 번식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우펀산(五分山) 보도에 있는 신핑시 매광업박물원구는 온 가족이 함께 여행하기에 좋다. 낮에는 대만의 매광업의 흥망성쇠 역사를 알아보고 밤에는 반딧불을 보며 생태와 인문을 모두 갖춘 지성여행을 해 보시기를 추천한다.

도금객의 복음-일제시기 댐 유적지를 찾아
水壩舊址

도금객의 복음-일제시기 댐 유적지를 찾아

찬광랴오(燦光寮) 고도 등산구로부터 보행으로 1.2킬로미터 가면 이미 작동이 멈춘 댐이 보인다. 이 댐은 일제시기에 세워졌으며 당시에는 채광사업이 성행함에 따라 많은 도금객(淘金客)들이 금을 찾아 진과스(金瓜石)로 가서 인구가 갑자기 증가하자 음용수가 부족하게 되었다. 이에 일본정부는 무단계 상류에 수리공정을 진행해 물을 진과스 지역으로 운송하였다. 그러나 광업이 몰락함에 따라 이 댐 역시 점차 황폐해져 현재 유적지만 남아있다.

신부의 꽃가마 환승역
崩山坑古道

신부의 꽃가마 환승역

벙산컹(崩山坑) 고도는 아주 이전에 간쟈오(柑脚), 타이핑(泰平) 두 곳을 연결하던 중요한 도로로 주민들은 이 길을 통해 생활 필수품을 보급하고 장사를 했다. 두 지역간의 왕래 품목은 일반적인 의식주행에 필요한 것 이외에 결혼도 포함되었는데 두 지역 주민들이 벙산컹 안부(鞍部)에서 서로 만나 다른 한 팀이 가마를 받아서 꽃가마를 탄 신부를 데리고 행복의 길로 안내했다고 한다.

차오링 고도 호자비는 암수 성별이 있나?
草嶺古道虎字碑

차오링 고도 호자비는 암수 성별이 있나?

차오링(草嶺) 고도의 「호자비(虎字碑)」는 대만총병 류밍등(劉明燈)이 야커우(埡口)로 북부 순찰을 나갔을 때 큰 바람을 만나 억새풀을 붓으로 하여 당장 현지에 「범 호」자를 써 여행의 안전을 기했다는 유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실은 파오마(跑馬) 고도에도 또 다른 호자비가 있어 어떻게 호랑이의 암수를 가릴지를 두고 여러 설이 생겼다. 차오링 고도의 호자는 왼쪽 모서리가 비교적 둥글고 매끄러워 「암호랑이」로 칭해지고 핑린(坪林)의 호자비는 대담하고 사나워 「숫호랑이」로 보인다.

룽링고도의 신비한 칠성퇴
嶐嶺古道七星堆

룽링고도의 신비한 칠성퇴

북로(北路)에 있는 룽링(嶐嶺)고도에 네이린계에 의해 형성된 산골짜기의 우측 큰 반얀트리의 후방에 일곱개의 거석이 쌓여 있는데 이 모양으로 인해 칠성퇴(七星堆)로 불려진다. 가까이서 보면 어지럽게 질서없이 보이지만 멀리서 보면 마치 금자탑처럼 보인다. 전설에 의하면 이곳은 이전 카이다거란족(凱達格蘭族)이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제천단과 비슷한 기능을 하던 곳이라 한다. 하지만 사료의 기재가 없어 상상으로만 전해지는 곳이다.

迎接北路亮點:草嶺古道芒花饗宴,享受秋日限定美景
芒花季

迎接北路亮點:草嶺古道芒花饗宴,享受秋日限定美景

秋日是屬於菅芒花的季節,漫山的芒花隨風翻滾,宛如銀色浪花一般,增添古道浪漫風情。東北角管理處於2002年開始舉辦一年一度的「草嶺古道芒花季」吸引眾多遊客慕名前來,一睹芒花盛開的美景,每年管理處也會設計富有巧思又有趣的互動遊戲和系列活動,還有一定要體驗看看的虎字碑拓印,以及古道深度導覽解說服務等等,山中還有一處古色古香的護管所,周圍草木蓊鬱、綠意盎然,彷彿山中別墅一般。

涼涼秋季,期待可以盡情飽覽這片秋季限定美景了嗎?熱愛美景,或是愛好健行及大自然的你,不妨趁著芒花季期間,與親朋好友相約在草嶺古道,讓隨風飄搖的芒浪相伴,踏上追溯百年古道的旅程,享受豐富的自然生態與人文藝術饗宴、沉浸於山林環抱的悠閒時光。

현지성이 바로 국제성이다! 공사부문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단란」이란 국제적 상표를 창조해 내다
合作備忘錄簽署儀式

현지성이 바로 국제성이다! 공사부문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단란」이란 국제적 상표를 창조해 내다

교통부관광국과 대만천리보도협회는 「단란국가급 녹색길」을 개최하고 공사부문이 협력하여 비망록협정의식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민간과 정부의 역량을 모아 함께 북대만의 문화특색과 환경에 우호적인 정신을 간직하고 있는 단란국가급 녹색길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들의 공통적인 염원과 협력하에 포스트코비드시대 녹색관광산업이 소생하는데 가장 강력한 기둥이 될 것이다.

맨 위로 이동